호출 규칙

프로시저나 함수를 선언할 때, 지시어 register, pascal, cdecl, stdcall, safecall 중의 하나
를 사용하여 호출 규칙(Calling convention)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
습니다.

1.png

호출 규칙은 파라미터를 루틴으로 전달하는 순서를 결정합니다. 또한 호출 규칙은 스택에서
파라미터 제거 방법, 파라미터 전달에서 레지스터 사용 여부, 에러와 예외 처리 등에 영향을
줍니다. 기본 호출 규칙은 register입니다.

 - register와 pascal 규칙은 파라미터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전달합니다. 즉, 가장 왼쪽에 있는
파라미터가 가장 먼저 계산, 전달되고 가장 오른쪽에 있는 파라미터는 마지막에 계산, 전달됩니
다. cdecl, stdcall, safecall 규칙은 파라미터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전달합니다.

 - cdecl을 제외한 모든 규칙에서 리턴할 때 프로시저나 함수가 스택에서 파라미터를 제거합니다.
cdecl 규칙에서는 리턴할 때 루틴 호출자가 스택에서 파라미터를 제거합니다.

 - register 규칙에서는 파라미터를 전달하기 위해 CPU 레지스터를 최대 3개까지 사용하며, 다른
규칙들에서는 모든 파라미터를 스택을 통해 전달합니다.

 - safecall 규칙은 예외“방화벽”을 구현합니다. Windows에서 이 규칙은 프로세스간
(interprocess) COM 에러 알림(notification)을 구현합니다.


아래의 표는 호출 규칙을 요약한 것입니다.

2.png

기본 register 규칙은 보통 스택 프레임을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가장 효율적입니다.
(published 속성에 대한 액세스 메소드는 반드시 register를 사용해야 합니다.) cdecl 규칙
은 C 또는 C++ 언어로 개발된 DLL의 함수를 호출할 때 유용하며, stdcall 및 safecall 규
칙은 일반적으로 외부 코드를 호출할 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Win32에서 운영체제 API는 stdcall 및 safecall 규칙을 사용합니다. 기타 운영체제는 일반
적으로 cdecl 규칙을 사용합니다. (stdcall 규칙이 cdecl 규칙보다 효율적입니다.)
safecall 규칙은 듀얼 인터페이스 메소드(11장“인터페이스”참조)를 선언할 때 반드시 사
용해야 합니다. pascal 규칙은 하위 호환성을 위해 유지됩니다. 호출 규칙에 대한 자세한 내
용은 13장“프로그램 제어”를 참조하십시오.

지시어 near, far, export는 16비트 Windows 프로그래밍에서의 호출을 위해 사용됩니다.
Win32에서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오직 하위 호환성을 위해서만 유지됩니다.


forward 선언과 interface 선언

forward 지시어는 프로시저나 함수 선언에서 함수 블럭과 지역 변수 선언, 문장을 대신합니
다. 예를 들면,

3.png

위 코드는 Calculate라는 함수를 선언합니다. 루틴은 forward 선언 다음 어딘가에서 실제
블럭을 포함한 정의적 선언(defining declaration)으로 다시 선언되어야 합니다. Calculate
에 대한 정의적 선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4.png

일반적으로 정의적 선언에서는 루틴의 파라미터 리스트나 리턴 타입을 다시 명시하지 않아
도 됩니다. 그러나 정의적 선언이 루틴 파라미터 리스트나 리턴 타입을 다시 표시하는 경우
에는 forward 선언문에 있는 것과 정확하게 일치해야 합니다. forward 선언문이 오버로드
된 프로시저 또는 함수(“프로시저와 함수 오버로드”참조)를 지정하면 정의적 선언은 반드
시 파라미터 리스트를 반복해야 합니다.

forward 선언과 그 정의적 선언은 같은 타입 선언 영역에 있어야 합니다. 다시 말해, 새 영
역 (var 영역이나 const 영역 등)을 forward 선언과 그 정의적 선언 사이에 추가할 수 없습
니다. 정의적 선언은 external 또는 assembler 선언이 될 수 있지만, 또 다른 forward 선언
문은 될 수 없습니다.

forward 선언의 목적은 프로시저 또는 함수 식별자의 유효 범위를 소스 코드에서 더 앞까지
확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forward 선언 루틴이 실제로 정의되기 전에 다른 프
로시저 및 함수에서 이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코드를 더 유연하게 해주는 것 외에,
forward 선언문은 상호 재귀(mutual recursion)를 위해서도 필요합니다.

forward 지시어는 유닛의 interface 섹션에서는 아무 효과도 없습니다. interface 섹션의
프로시저 및 함수 헤더는 forward 선언처럼 동작하며 implementation 섹션에 그 정의적
선언이 있어야 합니다. interface 섹션에서 선언된 루틴은 유닛의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
으며, 선언된 유닛을 uses하는 다른 유닛이나 프로그램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DelphiCon 요약] 코드사이트 로깅 실전 활용 기법 (Real-world CodeSite Logging Techniques) 관리자 2021.01.19 14387
공지 [UX Summit 요약] 오른쪽 클릭은 옳다 (Right Click is Right) 관리자 2020.11.16 13023
공지 [10.4 시드니] What's NEW! 신기능 자세히 보기 관리자 2020.05.27 15532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C++빌더) - 고객 사례 목록 관리자 2018.10.23 21064
공지 [데브기어 컨설팅] 모바일 앱 & 업그레이드 마이그레이션 [1] 관리자 2017.02.06 22297
공지 [전체 목록] 이 달의 기술자료 & 기술레터 관리자 2017.02.06 17933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 C++빌더) - 시작하기 [1] 관리자 2015.06.30 38228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C++빌더) - 모바일 앱 개발 사례 (2020년 11월 업데이트 됨) 험프리 2014.01.16 173741
110 Developer Direct LIVE! 모바일 썸머 스쿨!! 관리자 2013.07.06 2951
109 [기술백서] 모바일로 가면서 개발자가 하게 되는 실수 TOP5 (한글) 관리자 2013.07.06 4314
108 TListView iOS 샘플 제공 관리자 2013.06.28 4023
107 아이폰, 아이패드, 아이팟 앱 개발을 위한 파이어몽키 용 TMS 컴포넌트가 출시되었습니다. 관리자 2013.06.04 3783
106 IOS 앱을 개발하여 App Store에 등록하는 방법 관리자 2013.05.20 5399
105 델파이XE4로 아이폰, 아이패드, 윈32, 윈64, 맥OS X 단일 소스코드 베이스로 2분만에 개발 관리자 2013.05.13 5599
104 Delphi XE4에서 iOS 개발 환경 구축시 유의 할점. c2design 2013.05.11 5381
103 [웹세미나 안내] 델파이를 활용한 멀티-디바이스 앱 개발 관리자 2013.03.29 4634
102 멀티-티어 작업을 더욱 쉽게 만들어주는 Class Helper 관리자 2013.03.26 4999
101 델파이로 간단하게 슬라이드 효과를 적용한 iOS앱 만들기 관리자 2013.03.26 4953
100 [델파이 문법] 데이터 타입, 변수 및 상수 #4 file 관리자 2013.02.19 6364
99 [델파이 문법] 데이터 타입, 변수 및 상수 #3 file 관리자 2013.02.13 6729
98 [델파이 문법] 데이터 타입, 변수 및 상수 #2 file 관리자 2013.02.04 8214
97 [델파이 문법] 데이터 타입, 변수 및 상수 #1 관리자 2012.12.25 6978
96 [델파이 문법] 문법 요소 #15 file 관리자 2012.12.25 5386
95 델파이/C++빌더/RAD Studio XE3 업데이트1 다운로드 및 보완사항 리스트 관리자 2012.12.21 5191
94 [델파이 문법] 문법 요소 #14 file 관리자 2012.12.17 5352
93 [웹 세미나] RAD 따라잡기: 윈도우8 스타일 관리자 2012.11.27 4487
92 CodeRage7 : '델파이' 다시보기 관리자 2012.11.24 5259
91 [델파이 문법] 문법 요소 #13 file 관리자 2012.11.20 6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