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OAuth 2.0을 이용 네이버 API와 연동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이 글에서는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후 회원 프로필 조회 API와 연동해 프로필 정보를 불러오는 델파이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글을 통해 OAuth 2.0을 이용 카카오 API와 연동하는 내용을 다뤘습니다.

 

OAuth2.0 연동하는 절차는 카카오, 네이버 API 뿐아니라 대부분의 서비스들이 비슷합니다.

이 글에서는 카카오 API와 네이버 API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간략히 설명합니다. 이글을 읽기 전 위 링크의 내용을 먼저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네이버와 카카오 OAuth 2.0의 차이점은 앱 등록하는 과정, API의 엔드포인트(URI)와 일부 파라미터 종류 및 이름 뿐입니다.)

 

[준비] 준비사항, 앱 등록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API의 명세는 다음 링크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링크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해야 합니다.
 
등록 후 애플리케이션 정보에서 Client ID와 Client Secret을 확인합니다.(구현 시 사용)

 

API 설정에서 "사용 API" 항목에서 "네아로(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항목을 선택하고, 제공 정보를 선택합니다.

 

API 설정에서 "로그인 오픈 API 서비스 환경" 항목에서 "PC웹" 환경을 추가하고, 서비스 URL과 Callback URL을 등록합니다.(테스트 시에는 제 OAuth 페이지를 이용해도 좋습니다. http://hjf.pe.kr/oauth)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시 사용하는 API는 다음과 같습니다.

 

[1단계] 로그인 및 인증코드 취득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인증 요청" 페이지의 요청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부분 카카오 API와 같지만, 새로운 state 값이 있습니다. 해당 값은 사이트 간 요청 위조 공격을 방지하기 위한 값으로, 요청 시 입의의 값을 전달하면 응답시 동일한 값을 반환해 내가 작성한 요청에 대한 응답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state는 임의의 값을 사용해도 됩니다. 샘플에서는 "abcdef" 값을 사용했습니다.(랜덤으로 문자열을 생성해서 사용해도 됩니다.)

 

작성된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procedure TForm3.Button1Click(Sender: TObject);
var
  URL, Param: string;
begin
  URL := 'https://nid.naver.com';
  Param := '/oauth2.0/authorize?response_type=code&client_id={client_id}&redirect_uri={redirect_uri}&state={state}';
  Param := Param.Replace('{client_id}', CLIENT_ID);
  Param := Param.Replace('{redirect_uri}', REDIRECT_URI);
  Param := Param.Replace('{state}', 'abcdef');
 
  WebBrowser1.URL := URL + Param;
  WebBrowser1.Navigate;
end;
 
위 코드를 이용해 실행 후 로그인 및 동의 화면 후 다음과 같은 웹페이지로 리다이렉션 됩니다.
  • http://hjf.pe.kr/oauth/?code=7geMnuaVmQDsDbpoUl&state=abcdef
이동된 페이지 URL에서 code 정보를 취득 후 엑세스 토큰 취득시 사용합니다.
 

[2단계] 엑세스 토큰 취득

엑세스 토큰 취득 API의 요청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1단계에서 취득한 code를 포함해 요청합니다.

 

작성된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var
  token: string;
begin
  RESTClient1.BaseURL := 'https://nid.naver.com/';
 
  RESTRequest1.Resource := 'oauth2.0/token';
  RESTRequest1.Method := rmPOST;
  RESTRequest1.Params.Clear;
  RESTRequest1.Params.AddItem('grant_type',     'authorization_code');
  RESTRequest1.Params.AddItem('client_id',      CLIENT_ID);
  RESTRequest1.Params.AddItem('client_secret',  CLIENT_SECRET);
  RESTRequest1.Params.AddItem('code',           Edit1.Text);
  RESTRequest1.Params.AddItem('state',          'abcdef');
 
  RESTRequest1.Execute;
 
  Memo1.Lines.Text := RESTResponse1.Content;
 
  if RESTResponse1.JSONValue.TryGetValue<string>('access_token', token) then
    Edit2.Text := token;
end;</string>

다음과 같은 응답을 받으면, 필요한 access_token을 가져옵니다.

 

[3단계] 서비스에 접근(엑세스 토큰 이용)

엑세스 토큰으로 다양한 네이버 API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단, 애플리케이션 등록 시 설정한 앱에 한함)

 
네이버 회원 프로필 조회 API는 다음과 같습니다.

 

정상적인 요청에 대한 응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작성된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procedure TForm3.Button3Click(Sender: TObject);
var
  nickname, name, profile_url: string;
  Stream: TMemoryStream;
begin
  OAuth2Authenticator1.AccessToken := Edit2.Text;
 
  RESTClient2.BaseURL := 'https://openapi.naver.com/';
  RESTClient2.Authenticator := OAuth2Authenticator1;
 
  RESTRequest2.Client := RESTClient2;
  RESTRequest2.Response := RESTResponse2;
 
  RESTRequest2.Resource := 'v1/nid/me';
  RESTRequest2.Execute;
 
  Memo1.Lines.Text := RESTResponse2.Content;
 
  name := RESTResponse2.JSONValue.GetValue<string>('response.name');
  nickname := RESTResponse2.JSONValue.GetValue<string>('response.nickname');
  Edit3.Text := name;
  Edit4.Text := nickname;
 
  profile_url := RESTResponse2.JSONValue.GetValue<string>('response.profile_image');
 
  RESTClient3.BaseURL := profile_url;
  RESTRequest3.Execute;
  RESTRequest3.ExecuteAsync(procedure
    begin
      Stream := TMemoryStream.Create;
      try
        Stream.WriteData(RESTResponse3.RawBytes, RESTResponse3.ContentLength);
        ImageControl1.Bitmap.LoadFromStream(Stream);
      finally
        Stream.Free;
      end;
    end
  );
end;

 

완료 및 테스트

 

완성된 화면의 테스트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완성된 프로젝트 파일

 NaverOAuth20.zip

 

추가 학습할 내용

이 글은 다음 링크의 OAuth2.0 카카오 API 연동하는 내용과의 차이점을 기술합니다. OAuth 2.0의 프로세스와 카카오 API 연동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카카오 등의 서비스 인증(OAuth 2.0) 및 API 연동은 REST API 기반으로 구현됩니다. 다음 글들을 통해 REST API를 이해하고 실습할 수 있습니다.
 

 

관련/참고 링크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DelphiCon 요약] 코드사이트 로깅 실전 활용 기법 (Real-world CodeSite Logging Techniques) 관리자 2021.01.19 15801
공지 [UX Summit 요약] 오른쪽 클릭은 옳다 (Right Click is Right) 관리자 2020.11.16 14208
공지 [10.4 시드니] What's NEW! 신기능 자세히 보기 관리자 2020.05.27 16756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C++빌더) - 고객 사례 목록 관리자 2018.10.23 22317
공지 [데브기어 컨설팅] 모바일 앱 & 업그레이드 마이그레이션 [1] 관리자 2017.02.06 23634
공지 [전체 목록] 이 달의 기술자료 & 기술레터 관리자 2017.02.06 19148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 C++빌더) - 시작하기 [1] 관리자 2015.06.30 39585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C++빌더) - 모바일 앱 개발 사례 (2020년 11월 업데이트 됨) 험프리 2014.01.16 175011
743 엠바카데로에 직접 문의해 답변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퀄리티 포털 사용방법 안내) 험프리 2015.03.09 1239
742 [코드레이지 2019] 웹소켓(WebSocket)과 델파이 험프리 2020.01.22 1239
741 [시애틀] VCL 스타일을 적용해 1분만에 윈도우 10 최신신 룩앤필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험프리 2015.09.02 1237
740 [마감임박] Google의 새로운 Android API Level 26 요구사항 해결방법 2가지 [2] 험프리 2018.07.31 1236
739 FMX Linux (파이어몽키 리눅스) 첫 걸음 시작하기 관리자 2019.07.10 1228
738 [업데이트][10.1 베를린] RAD Studio 10.1 베를린 서브스크립션 업데이트 1 [5] file 험프리 2016.09.19 1224
737 [시애틀] 컨트롤 힌트, 윈도우 10 용 네이티브 랜더링 등 윈도우 10용 FMX! 험프리 2015.09.07 1224
736 무료 데이터베이스 활용하기 (여러 데이터베이스 기능 비교) 관리자 2021.07.13 1222
735 2017년 가장 많이 클릭된 기술자료 TOP 7 관리자 2018.01.23 1222
734 델파이의 새 달력콤포넌트 기능향상 및 버그수정.. 나비스 2017.08.18 1222
733 이번주! 꼭 알아야 할 C++ 기술 관리자 2021.07.09 1221
732 REST 웹서비스, 델파이에서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요? 관리자 2021.08.11 1221
731 [고객사례-UI컴포넌트 개발도구, 델파이] 페트라 (Petra) 관리자 2018.02.01 1221
730 [XE8] 애플리케이션 외관을 멋지고 일관되게 적용할 수 있는 프리미엄 스타일(Radiant, Vapor 추가) Humphery 2015.05.19 1219
729 RAD Studio XE7에서 VCL개선된 내용 관리자 2014.11.22 1218
728 내가 델파이를 계속 선택하는 이유 관리자 2021.06.01 1217
» OAuth 2.0 연동 - 네이버 API 연동(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험프리 2020.07.15 1216
726 이 달의 기술자료 - 2015년 07월 file 험프리 2015.06.26 1210
725 Skill Sprint: C++과 안드로이드 인텐트(Intent)를 이용해 앱간 통신하기 험프리 2015.12.11 1208
724 [10.2 도쿄] FireDAC과 데이터베이스 개선 file 김원경 2017.03.23 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