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스냅으로 JSONArray와 JSONObject 두가지 정보를 제공하고 분석해봅니다.

 

데이터스냅으로 JSON 데이터 제공 시 주의할 점은 반환 값이 "result" 값의 배열로{"result": []} ) 전달됩니다.

 

{"result":[{"LastName":"Hong","FirstName":"GilDong","Age":"30"}]}

 

그렇기 때문에 데이터스냅에서 받은 JSON 데이터를 분석(파싱)하려면 result 항목의 배열 값의 첫번째 값(result.[0])을 사용해야 합니다.

 

 

JSONArray와 JSONObject 데이터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1, JSONArray

JSONArray는 목록형태의 복수의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배열(JSONArray)로 데이터를 전달할 경우 아래와 같이 2차원 배열로 전달됩니다.

3c7d55ea6d1d8978dc7372234368adac.jpg

function TServerMethods1.MyData: TJSONArray;
var
 jRecord,jRecord2: TJSONObject;
 I: Integer;
begin
ClientDataSet1.Open;
Result := TJSonArray.Create;

while not ClientDataSet1.EOF do
  begin
     jRecord := TJSONObject.Create;
     for I := 0 to ClientDataSet1.FieldCount - 1 do
       jRecord.AddPair( ClientDataSet1.Fields[I].FieldName,TJSONString.Create (ClientDataSet1.Fields[I].AsString));
       Result.AddElement(jRecord);
      ClientDataSet1.Next;
  end;
end;

 

 

데이터스냅 서버에서는 위의 코드로 데이터를 제공했습니다.

 

RESTDebugger(Tools > REST Debugger)로 분석합니다.

rest1.png

1, Request.URL : http://localhost:8080/datasnap/rest/TServerMethods1

2, Parameters.Resource : MyData

3, [Send Request] 클릭

 

위 과정을 거치면 {"result": [[{"EMP_NO":"2", .... 와 같은 데이터를 받습니다.

수신받은 데이터는 result 값이 배열안에 배열(2중배열)로 처리되어 있습니다.

Tabular Data(표형식의 데이터)로 사용하려면 결과값이 배열이어야 하기때문에 JSON Root Element에 result.[0] 입력 후 [Apply] 버튼을 누릅니다.

rest2.png

 

 

 

 

2, JSONObject

 

fc5591e2c43acd2093357b10f0af5ec0.jpg

function TServerMethods1.GetName:TJSONObject;
var
 jRecord: TJSONObject;
begin
  jRecord := TJSONObject.Create;
  result := jRecord;
  result.AddPair('LastName','Hong');
  result.AddPair('FirstName','GilDong');
  result.AddPair('Age','30');
end;

 

 

 

위와 같이 이름정보를 JSONObject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에서는 아래 코드로 JSONObject정보를 분석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cedure TForm1.Button1Click(Sender: TObject);

var

  LastName, FirstName, Age: string;

begin

  RESTClient1.BaseURL := 'http://localhost:8080/datasnap/rest/TServerMethods1';

  RESTRequest1.Resource := 'GetName';

 

  RESTRequest1.Execute;

 

  RESTResponse1.RootElement := 'result.[0]';

  RESTResponse1.JSONValue.TryGetValue<string>('LastName', LastName);

  RESTResponse1.JSONValue.TryGetValue<string>('FirstName', FirstName);

  RESTResponse1.JSONValue.TryGetValue<string>('Age', Age);

 

  ShowMessage(LastName + ' ' + FirstName + ' ' + Age);

 

end;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DelphiCon 요약] 코드사이트 로깅 실전 활용 기법 (Real-world CodeSite Logging Techniques) 관리자 2021.01.19 17839
공지 [UX Summit 요약] 오른쪽 클릭은 옳다 (Right Click is Right) 관리자 2020.11.16 16197
공지 [10.4 시드니] What's NEW! 신기능 자세히 보기 관리자 2020.05.27 18847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C++빌더) - 고객 사례 목록 관리자 2018.10.23 24419
공지 [데브기어 컨설팅] 모바일 앱 & 업그레이드 마이그레이션 [1] 관리자 2017.02.06 25801
공지 [전체 목록] 이 달의 기술자료 & 기술레터 관리자 2017.02.06 21160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 C++빌더) - 시작하기 [1] 관리자 2015.06.30 41750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C++빌더) - 모바일 앱 개발 사례 (2020년 11월 업데이트 됨) 험프리 2014.01.16 177058
633 [10.4 시드니][패치] RAD스튜디오 10.4 '두 번째 패치(Patch 2)'를 다운로드 받으세요! 관리자 2020.07.20 928
632 OAuth 2.0 연동 - 네이버 API 연동(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험프리 2020.07.15 1233
631 RAD Studio의 생산성 툴링 : 탐색기 김원경 2020.07.09 360
630 RAD Studio의 생산성 툴링 : 북마크 김원경 2020.07.09 362
629 [2020년 상반기] 기술자료 TOP 10 - 개발자들이 가장 많이 클릭한 기술자료는? 관리자 2020.07.07 677
628 이 달의 기술자료 - 2020년 07월 험프리 2020.06.25 478
627 [발표자료] 20200623 코로나19, 데이터와 RAD로 방역하다! file 관리자 2020.06.24 711
626 [10.4 시드니 신기능 Deep Dive] 겟잇 패키지 매니저의 새로운 기능들 관리자 2020.06.22 575
625 북마크, 탐색기 - 무료 IDE 애드온 기능들 업데이트! (10.4용) 관리자 2020.06.16 424
624 [REST-무료제공툴] REST 디버거 - REST 서비스를 언제든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file 험프리 2020.06.15 1052
623 [발표자료] 20200609 What's NEW! RAD스튜디오 10.4 시드니 file 관리자 2020.06.10 480
622 [10.4 시드니 신기능 Deep Dive] 델파이 추가된 문법 및 변경 사항 김원경 2020.06.05 499
621 [10.4 시드니 신기능] iOS와 맥OS 지원 강화 관리자 2020.06.04 692
620 [10.4 시드니 신기능] 고해상도 DPI용 VCL 콘트롤(들) 관리자 2020.06.04 512
619 [10.4 시드니 신기능] 개발환경 강화 관리자 2020.06.04 459
618 [RAD Studio 10.4 패치1 ] C ++ 디버깅과 누락 파일 패치 – 패치를 설치하는 새로운 방법! file 김원경 2020.06.01 650
617 이 달의 기술자료 - 2020년 06월 file 험프리 2020.05.29 364
616 [10.4 시드니 신기능] 델파이 10.4 런타임 라이브러리 향상 file 김원경 2020.05.28 635
615 [10.4 시드니 신기능] Sarina Dupont이 정리한 주요 신기능 모아 보기 험프리 2020.05.28 4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