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COM(컴포넌트 오브젝트 모델: 위키백과)은 COM 기반으로 구현한  외부 오브젝트들과 연동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예를 들어 오피스(엑셀, 워드 등)에서 COM을 제공하기 때문에 COM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엑셀과 워드등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 Delphi and Microsoft Office: Automating Excel and Word:  http://edn.embarcadero.com/article/10128

 

COM 오브젝트 연동 방법

델파이에서 COM 오브젝트 연동은 CreateOleObject 메소드를 이용해 구현하는 방식과 "Type Library"를 이용하는 2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1) CreateOleObject 메소드 이용해 구현하는 방식

CreateOleObject를 이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가변형(Variant) 변수에 CreateOleObject 메소드를 이용해 인스턴스를 만들어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방식의 단점은 해당 COM 라이브러리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메소드, 상수, 클래스)를 제작사가 제공해주는 문서등을 통해 파악해야만 개발할 수 있고, 코딩 및 컴파일 시에는 오류를 확인할 수 없고, 해당 코드를 실행시에 오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var
  Nat, Ports: Variant;
begin
    NAT   := CreateOleObject ( 'HNetCfg.NATUPnP' );

2) Type Library 메소드를 이용해 구현하는 방식

델파이의 "Import a Type Library"  기능을 이용해 델파이로 된 COM 인터페이스 파일(소스코드)를 생성 후, 해당 파일을 이용해 기능을 구현하는 방식입니다.

COM 인터페이스 소스파일에는 COM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메소드와 상수가 정의되어 있어, 제공하는 기능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사용방법 소개

이곳 테크게시판에 올라온 질문을 토대로 사용법을 소개합니다.

http://tech.devgear.co.kr/delphi_qna/425954

질문요약. 

UPnP를 구현하려고 아래와 같은 코드를 사용했습니다.

var
  Nat, Ports: Variant;
begin
    NAT   := CreateOleObject ( 'HNetCfg.NATUPnP' );
    Ports := NAT.StaticPortMappingCollection;
 

위 질문에서는 "HNetCfg.NATUPnP" 클래스 이름을 갖는 COM을 이용해 UPnP를 구현하려고 합니다.

 

위와 같이 Variant 변수를 이용해 COM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COM의 인터페이스를 잘 알고 있다면

해당 COM이 어떤 메소드를 갖고 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구현이 어렵고 제한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Import a Type Library 기능을 이용해 UPnP 구현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COM을 제공하는 dll 찾기

클래스 이름(HNetCfg.NATUPnP)으로 검색해 아래 문서를 통해  Hnetcfg.dll을 사용한다는 정보를 알아냈습니다.

https://msdn.microsoft.com/ko-kr/library/windows/desktop/aa366182(v=vs.85).aspx

 

2, COM 인터페이스 파일 생성하기

1) Component > Import Components.. 메인메뉴를 선택합니다.

2) 컴포넌트 타입(Type of Component)에서 Import a Type Library

3) Add 버튼을 클릭하고, 추가할 라이브러리(C:\Windows\System32\Hnetcfg.dll)를 선택합니다.

4) 또는 이미 등록된 경우 등록된 항목을 선택합니다.hnetcfg01.png

 

4) 경로지정

소스코드를 저장할 경로(Unit Dir Name)를 지정합니다.(경로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생성한 소스를 이동 후에도 사용 가능합니다.)

hnetcfg02.png

 

 

5) 유닛 생성

hnetcfg03.png

 

6) 생성된 소스코드(XXXX_TLB.pas)를 이용해 기능을 구현합니다.

hnetcfg04.png

 

위에서 생성한 인터페이스 파일은 말그대로 COM 오브젝트의 인터페이스와 클래스가 정의되어 있습니다.

클래스를 사용하면 제공되는 메소드와 인터페이스 구조를 코딩 시점에 파악할 수 있어 더욱 쉽게 구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COM 오브젝트의 사용법 등은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DelphiCon 요약] 코드사이트 로깅 실전 활용 기법 (Real-world CodeSite Logging Techniques) 관리자 2021.01.19 17775
공지 [UX Summit 요약] 오른쪽 클릭은 옳다 (Right Click is Right) 관리자 2020.11.16 16151
공지 [10.4 시드니] What's NEW! 신기능 자세히 보기 관리자 2020.05.27 18798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C++빌더) - 고객 사례 목록 관리자 2018.10.23 24364
공지 [데브기어 컨설팅] 모바일 앱 & 업그레이드 마이그레이션 [1] 관리자 2017.02.06 25736
공지 [전체 목록] 이 달의 기술자료 & 기술레터 관리자 2017.02.06 21113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 C++빌더) - 시작하기 [1] 관리자 2015.06.30 41687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C++빌더) - 모바일 앱 개발 사례 (2020년 11월 업데이트 됨) 험프리 2014.01.16 176989
51 [코드레이지11] FireDAC 이해하기, RAD 스튜디오 데이터 엑세스 프레임워크 선택 - Cary Jensen 험프리 2016.11.24 557
50 [동영상] 애플 터치 아이디 연동하기 file 험프리 2016.11.01 448
49 [동영상] 앱테더링 데이터 암호화/복호화 방법 file 험프리 2016.11.01 824
48 이 달의 기술자료 - 2016년 11월 험프리 2016.10.28 456
» COM 오브젝트 연동 유닛 생성하기: Import a Type Library file 험프리 2016.09.30 2608
46 [발표자료] 20160929 나만의 앱 완성하기 with 델파이 험프리 2016.09.21 906
45 안드로이드 SDK 설정 방법 file 험프리 2016.09.20 2905
44 RAD 스튜디오(델파이, C++빌더) 웹개발 방법(WebBroker, IntraWeb) 험프리 2016.09.07 1855
43 TeeChart 컴포넌트를 통해 다양한 차트 및 그래프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file 험프리 2016.08.30 5318
42 이 달의 기술자료 - 2016년 09월 file 험프리 2016.08.25 609
41 FireDAC 성능 비교(BDE, dbGO(ADO), dbExpress, FireDAC) 험프리 2016.08.09 1767
40 퀵레포트 보고서 엑셀로 내보내기(저장하기) [1] 험프리 2016.08.01 1687
39 이 달의 기술자료 - 2016년 07월 file 험프리 2016.06.30 2048
38 이 달의 기술자료 - 2016년 05월 file 험프리 2016.04.26 667
37 [안드로이드/iOS] 이미 배포(Deployment)된 파일 업데이트 하기 험프리 2016.03.31 1580
36 이 달의 기술자료 - 2016년 04월 file 험프리 2016.03.28 515
35 TCategoryButtons 동적 생성하고, TButtonItem 클릭 이벤트 연결하기 file 험프리 2016.03.23 1397
34 이 달의 기술자료 - 2016년 03월 [1] file 험프리 2016.02.25 800
33 이 달의 기술자료 - 2016년 2월 file 험프리 2016.01.26 569
32 이 달의 기술자료 - 2016년 01월 file 험프리 2015.12.28 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