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에서 깃을 설치하고, 저장소의 구성을 살펴봤습니다.

 

이 글에서는 RAD 스튜디오에서 깃을 설정하고 깃허브 소스코드를 RAD 스튜디오에서 여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이 글에서는 다음 내용을 설명합니다.

  1. RAD 스튜디오에서 깃 설정
  2. RAD 스튜디오에서 깃허브 저장소의 소스코드 열기
  3. 써드파티 깃 클라이언트 소개

 

이 시리즈에서는 깃과 깃허브를 이용하는 기본적인 방법과 깃허브를 이용한 코드리뷰 방법을 설명합니다.

RAD 스튜디오에서 깃 설정

RAD 스튜디오(델파이, C++빌더) 10.3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다른 버전의 경우 옵션 등의 경로가 다를 수 있습니다.

 

툴 옵션(Tools > Options...) 표시 후 Version Control > Git 화면을 표시합니다.

 

 

 - Git Executable : 깃 설치 프로그램을 설치한 경로 하위의 bin\git.exe 파일을 선택합니다.

 - Authorization(User Name, Email) : 소스코드 저장 시 적용할 이름과 이메일을 기록합니다.

 

깃허브의 소스코드 열기

깃허브에 저장된 소스코드를 RAD 스튜디오로 여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다음 링크는 데브기어 교육용 저장소입니다. 이 저장소의 소스코드를 통해 설명합니다.

(여러분들은 이 저장소의 쓰기권한이 없으므로, 소스코드를 가져올 수 있지만 저장할 수는 없습니다.

가져온 소스를 저장하려면 저장소를 생성하거나 복사(Fork)한 저장소여야 합니다.)

 

다음 링크를 방문합니다.

페이지 중간 우측의 [Clone or download] 버튼 클릭 후 클립보드로 복사 버튼을 클릭합니다.

 

 

 

RAD 스튜디오를 열고, File > Open From Version Control... 메뉴를 선택합니다.

 

 

Git 선택 후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Source 항목은 깃 허브에서 클립보드로 복사한 주소를 붙여넣기(Ctrl + V) 후 Destination 항목에 저장할 로컬 경로 선택 후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로컬로 복사(Clone)가 완료되면 [OK] 버튼 클릭. 지정된 경로에 소스코드가 복사되었습니다.

 

 

 

RAD 스튜디오에 프로젝트를 열수 있는 화면이 표시되면, 프로젝트를 선택 후 [OK] 버튼을 클릭해 프로젝트를 엽니다.

 

 

 

이후, 프로젝트 패널에서 프로젝트 팝업 메뉴 중 Git 메뉴를 통해 "Commit, Pull, Push" 등의 작업이 가능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위 기능을 이용해 변경(추가/수정/삭제)된 소스코드를 저장소에 반영하는 기능등을 살펴봅니다.

 

써드파티 깃 클라이언트로 소개

RAD 스튜디오의 깃 연동은 가장 중요한 기능(Commit, Pull, Push, Clean, Show Log) 위주로 제공합니다.

깃에는 위 기능 외에 매우 많은 기능(Branch, Merge, Tag 등)을 명령어로 제공합니다. 

 

이 기능들을 UI기반으로 사용할 수 있는 써드파티 깃 클라이언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많은 써드파티 깃 클라이언트가 있지만, 이 글에서는 SourceTree와 TortoiseGit을 소개합니다.

 

SourceTree

SourceTree는 저장소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관리할 수 있는 깃 GUI입니다.

현재 가장 인기있는 깃 클라이언트 중 하나입니다.

 

 

TortoiseGit

탐색기 기반으로 동작하는 깃 클라이언트입니다.

개인적으로 예전부터 사용하던 TortoiseSVN이 익숙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참고자료

다음 링크에서 깃허브에 저장소를 생성하고 연동(불러오기, 저장히기)하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링크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DelphiCon 요약] 코드사이트 로깅 실전 활용 기법 (Real-world CodeSite Logging Techniques) 관리자 2021.01.19 15548
공지 [UX Summit 요약] 오른쪽 클릭은 옳다 (Right Click is Right) 관리자 2020.11.16 14001
공지 [10.4 시드니] What's NEW! 신기능 자세히 보기 관리자 2020.05.27 16534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C++빌더) - 고객 사례 목록 관리자 2018.10.23 22118
공지 [데브기어 컨설팅] 모바일 앱 & 업그레이드 마이그레이션 [1] 관리자 2017.02.06 23368
공지 [전체 목록] 이 달의 기술자료 & 기술레터 관리자 2017.02.06 18963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 C++빌더) - 시작하기 [1] 관리자 2015.06.30 39359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C++빌더) - 모바일 앱 개발 사례 (2020년 11월 업데이트 됨) 험프리 2014.01.16 174765
614 [XE7] 병렬(페러럴) 컴퓨팅 라이브러리 소개 Humphery 2014.09.22 3422
613 CodeRage 모바일에서 소개된 "유용한 정보" 링크 모음입니다. 관리자 2013.06.28 3418
612 데브기어 강의 - 2016년 3월 (첫 개강!) file 관리자 2015.01.22 3413
611 이 달의 기술자료 - 2014년 9월 file 험프리 2014.08.11 3385
610 VCL앱을 모바일앱으로 쉽게 확장할 수 있는 앱테더링 자세히 살펴보기! [3] Humphery 2014.11.11 3369
609 SVN 서버 설치하기 - Visual SVN 이용 험프리 2016.02.29 3349
608 XE5용 업데이트2 가 공개되었습니다. 관리자 2013.12.16 3315
607 이 달의 강의 - 2015년 11월 관리자 2015.01.22 3192
606 안드로이드에서 NFC 연동 방법 Humphery 2014.09.12 3144
605 이전버전에서 최신버전으로 마이그레이션(업그레이드) 참고문서 Humphery 2014.02.28 3116
604 [베를린] TBufferedFileStream을 이용해 TFileStream 보다 더 빠르게 파일을 읽고, 쓸수 있습니다. file 험프리 2016.05.09 3096
603 [추가자료] 안드로이드 개발환경 추가 조치방법 - 수동 SDK Tools 업데이트 file Humphery 2015.10.01 3070
602 [따라하기] FireDAC으로 오라클(Oracle) DB와 연결하기 험프리 2015.03.24 3056
601 FireDAC 시작하기 Humphery 2014.09.23 2960
600 안드로이드 SDK 설정 방법 file 험프리 2016.09.20 2869
599 파이어몽키(FireMonkey) vs. VCL 관리자 2017.07.18 2844
598 [다음 버전 정보] 비콘(Beacon)으로 접근감지하기 Humphery 2015.03.26 2796
597 모바일 앱 개발 시 툴 선택 file Humphery 2014.04.29 2796
596 코드사이트(CodeSite)로 로그를 기록하며 프로그램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file 험프리 2016.05.26 2715
595 FM(파이어몽키) 애플리케이션에서 StyledSettings 활용하기 관리자 2013.12.27 2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