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에서 RAD 스튜디오에서 Git 설정 및 불러오기를 진행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깃허브에 여러분의 저장소를 생성하고, RAD 스튜디오로 열고, 변경사항을 저장소에 반영하는 내용을 진행합니다.

이 글에서는 다음 내용을 설명합니다.

  1. 깃허브에 저장소 생성
  2. RAD 스튜디오에서 생성한 저장소 열기
  3. 소스코드 변경 후 커밋 및 저장소에 반영

 

이 시리즈에서는 깃과 깃허브를 이용하는 기본적인 방법과 깃허브를 이용한 코드리뷰 방법을 설명합니다.

 

깃허브에 저장소 생성

깃허브에 여러분의 저장소를 생성하는 내용을 설명합니다.

 

깃허브에서 새로운 저장소를 생성합니다.

저장소 이름을 입력하고, .gitignore를 선택합니다.(.gitignore는 버전관리 제외 대상 포맷 파일입니다.)

[Create repository] 버튼을 눌러 저장소를 생성합니다.

 

 

생성된 저장소에서 [Clone or download] 버튼을 누르고, 클립보드로 복사 버튼을 클릭합니다.

 

 

 

RAD 스튜디오에서 생성한 저장소 열기

RAD 스튜디오를 열고, File > Open From Version Controll... 메뉴를 선택합니다.

 

 

Git 선택 후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Source 항목은 깃 허브에서 클립보드로 복사한 주소를 붙여넣기(Ctrl + V) 후 Destination 항목에 저장할 로컬 경로 선택 후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소스코드 변경 후 커밋 및 저장소 반영

위에서 불러온 저장소에 프로젝트 파일을 만들고 커밋하는 절차를 설명합니다.

 

프로젝트 생성 및 저장

위의 로컬 경로에 프로젝트 파일을 저장합니다.

File > New > WIndows VCL Application

File > Savle All

 

이제 프로젝트 팬에서 프로젝트 팝업 메뉴 중 Git 메뉴가 표시됩니다.
(프로젝트 파일의 디렉토리에 깃 정보가 있으면 Git 메뉴 표시)

 

 

 

Commit - 로컬 저장소에 소스코드 반영

Git > Commit > From Repository Root 메뉴를 선택합니다.

Commit 화면에서 [Show unversioned files] 체크박스를 선택합니다.

파일 중 커밋할 대상을 선택합니다.(Check or uncheck all 선택)

커밋 메시지(Comment)를 입력 합니다.

[Commit] 버튼을 클릭합니다.

 

 

Push - 원격 저장소에 로컬저장소의 내용 반영

Git > Push > From Repository Root 메뉴를 선택합니다.

Git Login 창에서 깃허브의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원격 저장소 확인

깃허브에서 여러분의 저장소에 반영된 목록을 확인합니다.

 

 

이후 작업

소스코드를 수정하고, 커밋(Commit)을 합니다. 커밋된 변경내역을 원격저장소에 반영이 필요한 경우 푸시(Push)합니다.

 

커밋 작업은 자주하는 것이 좋지만, 의미있는 단위(작은 기능 추가, 함수 추가, 코드 변경 등)로 커밋하는 것이 좋습니다.

향후 커밋된 작업으로 소스코드를 되돌려야 할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다음 링크에서 협업을 위한 깃허브 구성과 코드리뷰 환경 구성하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DelphiCon 요약] 코드사이트 로깅 실전 활용 기법 (Real-world CodeSite Logging Techniques) 관리자 2021.01.19 15849
공지 [UX Summit 요약] 오른쪽 클릭은 옳다 (Right Click is Right) 관리자 2020.11.16 14254
공지 [10.4 시드니] What's NEW! 신기능 자세히 보기 관리자 2020.05.27 16804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C++빌더) - 고객 사례 목록 관리자 2018.10.23 22359
공지 [데브기어 컨설팅] 모바일 앱 & 업그레이드 마이그레이션 [1] 관리자 2017.02.06 23677
공지 [전체 목록] 이 달의 기술자료 & 기술레터 관리자 2017.02.06 19191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 C++빌더) - 시작하기 [1] 관리자 2015.06.30 39632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C++빌더) - 모바일 앱 개발 사례 (2020년 11월 업데이트 됨) 험프리 2014.01.16 175051
534 [마이그레이션] 컴파일러 버젼 [1] 험프리 2014.08.18 1697
533 [FireDAC Skill Sprints] 6. 전처리: SQL문을 유연하게 작성할 수 있는 Param와 Macro 사용하기 Humphery 2015.03.13 1692
532 멀티-티어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배포: 파이어몽키 코스북 9장 file 관리자 2014.07.25 1689
531 [프로그래밍 애피타이저] 6장 프로시저와 함수 file 김원경 2020.04.07 1683
530 퀵레포트 보고서 엑셀로 내보내기(저장하기) [1] 험프리 2016.08.01 1677
529 [XE8] 대화형 지도 컴포넌트로 구글맵과 애플 맵킷 한번에 사용하기 Humphery 2015.04.17 1656
528 [20140610 온라인 세미나 발표자료] 처음 만나는: RAD Studio XE6, Delphi XE6, C++Builder XE6 file 관리자 2014.06.14 1652
527 RAD 스튜디오 - 사물인터넷 관련기술과 고객사례 험프리 2017.10.31 1646
526 [RAD서버] EMS 패키지 프로젝트 시작하기 험프리 2017.04.28 1642
525 코드 아카데미: 세션1. BaaS와 Kinvey 자세히 알아보기(2014.7.29) 관리자 2014.07.30 1634
524 C++빌더와 델파이를 이용한 SHA 해시 file 김원경 2018.05.21 1622
523 [10.4 프리뷰] 베타 서비스 시작 & 새 기능 미리 보기 관리자 2020.03.03 1615
522 [FireDAC Skill Sprints] 1. FireDAC 소개 험프리 2015.04.01 1587
521 [코드레이지11] 인공지능(AI) with 델파이 & C++빌더 - Boian Mitov [1] 험프리 2016.11.24 1587
520 코드 아카데미: 세션3. 클라우드 기반 스토리지 (2014.8.12) 관리자 2014.08.18 1586
519 나의 첫 윈도우/맥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파이어몽키 코스북 2장 file 관리자 2014.07.11 1579
518 [업데이트][10 시애틀] RAD Studio 10 시애틀 서브스크립션 업데이트 1 [3] file 험프리 2015.11.25 1573
517 [개발환경] RAD 스튜디오에서 Git 설정 및 불러오기(2) 험프리 2019.06.20 1570
516 [고객 사례- 박물관, RAD Studio+비콘] 사이토바루 고고학 박물관 – 비콘 활용 솔루션 관리자 2016.11.04 1568
515 Developer Direct Live in 부산(5/20 세미나 발표자료) [1] file Humphery 2014.05.21 1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