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파일,링크 및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컴파일의 필요성

 

컴퓨터는 0 1로만 모든 명령을 이해하고 실행합니다. 우리가 ‘A’라는 문자를 입력하더라도 컴퓨터는 이것을 01로 이루어진 이진코드로 해석합니다. 그런데 ‘A’라는 문자를 어떻게 해석해줄 것인가? 또는 각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에 맞게 작성되어 있는지 체크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컴파일 이라고 합니다.

 

컴파일의 이해

 

l  사람이 이해하는 언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바꾸어 주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l  원시코드에서 목적코드로 바꾸어 주는 것이 컴파일이고 오브젝트 파일을 실행 파일로 바꾸는 것이 링크입니다.

l  원시코드는 우리가 작성한 코드, 목적코드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한 코드입니다.

l  컴파일과 링크의 기능을 하는 것이 컴파일러입니다.

컴파일과링크1.png

링크(link)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소스파일이 여러 개가 생성이 되고 A라는 소스파일에서 B라는 소스파일에 존재하는 함수(메소드)를 호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A B 소스파일 각각을 컴파일만 하면 A B에 존재하는 함수를 찾질 못하기 때문에 호출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A B를 연결해주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 작업을 링크라고 합니다. 여러 개로 분리된 소스파일들을 컴파일 한 결과물들에서 최종 실행 가능한 파일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부분을 찾아서 연결해주는 작업입니다.

 

링크는 정적 링크(static link)와 동적 링크(dynamic link)가 있는데 정적 링크란 컴파일 된 소스파일을 연결해서 실행 가능한 파일을 만드는 것이고, 동적 링크란 프로그램 실행 도중 프로그램 외부에 존재하는 코드를 찾아서 연결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빌드(Build)

 

소스코드 파일을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 산출물로 만드는 일련의 과정을 말합니다빌드의 단계 중 컴파일이 포함이 되어 있는데 컴파일은 빌드의 부분집합이라 할 수 있습니다빌드 과정을 도와주는 도구를 빌드 툴이라 합니다.

 

실행파일

 

실행파일(Executable File)이란 단순히 데이터만 담고 있는 파일이 아닌, 명령에 따라 지시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파일을 의미합니다.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소스 파일을 컴파일러나 어셈블러 등을 이용하여 실행 파일로 변환이 이루어집니다.

운영 체제는 파일 확장자로 실행 파일을 구분하거나, 메타데이터를 통해 파일을 인식합니다.

 

각 운영체제에 관한 실행파일은 아래 주소를 참조하십시오.

http://forensic.korea.ac.kr/DFWIKI/index.php/%EC%8B%A4%ED%96%89_%ED%8C%8C%EC%9D%BC

 

 

운영체제(Opertating System)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여러 프로그램의 모임입니다. 운영체제는 컴퓨터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일종으로,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유용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해 줍니다.

 

운영체제.png

운영체제의 종류

 

운영체제의 종류에는 WIndows 98, Windows10, UNIX, LINUX, MS-DOS등이 있습니다.

 

 

운영체제의 기능

 

l  프로세서,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파일 및 정보 등의 자원을 관리합니다.

 

l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자원의 스케줄링 기능을 제공합니다.

 

l  사용자와 시스템간의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l  시스템의 각종 하드웨어와 네트워크를 관리, 제어합니다.

 

l  데이터를 관리하고, 데이터 및 자원의 공유 기능을 제공합니다.

 

l  시스템의 오류를 검사하고 복구합니다.

 

l  자원 보호 기능을 제공합니다.

 

l  입 출력에 대한 보조 기능을 제공합니다.

 

l  가상 계산기 능력을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2장 컴파일과링크및운영체제.pdf

 

 

 


프로그래밍을 제대로 공부해보고 싶다면, 다음 순서로 진행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1. 프로그래밍 애피타이저 시리즈
  2. [동영상] 데브기어 델파이 기초 시리즈
  3. [오프라인 강의] 델파이/C++빌더 기초 강화
  4. [오프라인 강의] 델파이/C++빌더 윈도우 프로그래밍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DelphiCon 요약] 코드사이트 로깅 실전 활용 기법 (Real-world CodeSite Logging Techniques) 관리자 2021.01.19 15795
공지 [UX Summit 요약] 오른쪽 클릭은 옳다 (Right Click is Right) 관리자 2020.11.16 14203
공지 [10.4 시드니] What's NEW! 신기능 자세히 보기 관리자 2020.05.27 16753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C++빌더) - 고객 사례 목록 관리자 2018.10.23 22313
공지 [데브기어 컨설팅] 모바일 앱 & 업그레이드 마이그레이션 [1] 관리자 2017.02.06 23628
공지 [전체 목록] 이 달의 기술자료 & 기술레터 관리자 2017.02.06 19146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 C++빌더) - 시작하기 [1] 관리자 2015.06.30 39580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C++빌더) - 모바일 앱 개발 사례 (2020년 11월 업데이트 됨) 험프리 2014.01.16 175005
174 RAD Studio XE8을 지원하는 외부 컴포넌트와 도구 Humphery 2015.05.28 1045
173 [XE8] Getit(패키지 관리자) - 번거로운 컴포넌트 검색과 설치를 손쉽게 할 수 있습니다. Humphery 2015.05.28 1295
172 [윈도우10] RAD Studio XE8로 윈도우 10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file Humphery 2015.05.26 1454
171 [XE8] 애플리케이션 외관을 멋지고 일관되게 적용할 수 있는 프리미엄 스타일(Radiant, Vapor 추가) Humphery 2015.05.19 1219
170 20150512 [온라인세미나] 윈도우와 다양한 디바이스: 처음 만나는 RAD Studio XE8 관리자 2015.05.13 464
169 [업데이트][핫픽스][XE8] iOS 8 시뮬레이터 변경사항 대응 file Humphery 2015.05.11 889
168 [발표자료] RAD Studio XE8 출시 세미나 관리자 2015.05.01 613
167 [업데이트][핫픽스][XE8] iOS 플랫폼의 SQLite 라이브러리 누락 패치 file Humphery 2015.04.30 860
166 [XE8] 번거로운 수작업을 줄여 핵심기능 개발에 집중할 수 있는 개발 생산성 향상도구 Humphery 2015.04.28 901
165 [XE8] TAppAnalytics 컴포넌트로 앱의 사용량 수집, 분석해 사용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file Humphery 2015.04.27 805
164 이 달의 기술자료 - 2015년 05월 file 험프리 2015.04.24 5496
163 [XE8] 오프라인에서 도움말을 볼 수 있습니다.(CHM 형식) Humphery 2015.04.17 928
162 [XE8] 대화형 지도 컴포넌트로 구글맵과 애플 맵킷 한번에 사용하기 Humphery 2015.04.17 1655
161 [XE8] 멀티-디바이스 미리보기: 다양한 디바이스 화면을 미리보며 최적화된 화면 개발하기 Humphery 2015.04.17 1136
160 XE8 새로운 기능외의 개선사항 Humphery 2015.04.16 927
159 [XE8] 버전 컨트롤 시스템 IDE 통합(Mercurial 지원) [1] Humphery 2015.04.15 1378
158 [XE8] 근거리 위치기반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비콘(Beacon) 연동하기 [1] Humphery 2015.04.15 3953
157 [업데이트][XE7] iOS 8.1.3/8.2 서명과 프로비저닝 프로파일 지원 핫픽스(베타) Humphery 2015.04.14 1057
156 [XE8] 네이티브 iOS 컨트롤 지원 Humphery 2015.04.13 820
155 [XE8] iOS 64bit 앱개발과 유니버설(armv7 + arm64) 앱개발 [1] Humphery 2015.04.13 1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