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TFrame을 처음 사용하면 좀 난해한 부분이 있습니다..

어떻게 생성하고 또 어떻게 해제를 해야 하는지.....

이럴 경우에 아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TFrame 관리 클래스를 공개합니다..

(공개라 하기에는 좀 뭐시기 하지만....)

 

현재 도쿄 10.2.2에서 잘 돌아감....

 

 

// 메인 폼...

unit Unit3;

interface

uses
  System.SysUtils, System.Types, System.UITypes, System.Classes, System.Variants,
  FMX.Types, FMX.Controls, FMX.Forms, FMX.Graphics, FMX.Dialogs,
  FMX.Controls.Presentation, FMX.StdCtrls, FMX.VirtualKeyboard,  FMX.Platform,
  uFrameList; 

type
  TForm3 = class(TForm)
    btnFrameTest: TButton;
    btnClose: TButton;
    Button1: TButton;
    procedure btnFrameTestClick(Sender: TObject);
    procedure FormKeyUp(Sender: TObject; var Key: Word; var KeyChar: Char; Shift: TShiftState);
    procedure btnCloseClick(Sender: TObject);
    procedure FormCreate(Sender: TObject);
    procedure FormDestroy(Sender: TObject);
  private

  public
    FrameList: TFrameList;   // 프레임 관리 변수를 전역으로...
  end;

var
  Form3: TForm3;

 

implementation

 

uses Unit4;

 

{$R *.fmx}

procedure TForm3.btnFrameTestClick(Sender: TObject);
var
    fr: TFrame1;
begin

  // 버튼을 누르면 프레임을 생성해서 관리 클래스에 추가한다....
    fr := TFrame1.Create(Self);
    FrameList := TFrameList.GetObject;
    FrameList.Add(Self, fr);

end;

procedure TForm3.btnCloseClick(Sender: TObject);
begin
    Close;
end;

procedure TForm3.FormCreate(Sender: TObject);
begin

   // 메인 폼 처음 생성 시 프레임 관리 변수에 클래스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FrameList := TFrameList.GetObject;  // 중복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 싱글톤으로.....

end;

procedure TForm3.FormDestroy(Sender: TObject);
begin

   // 메인 폼 종료 시 클래스도 해제한다...
    FrameList.Free;

end;

procedure TForm3.FormKeyUp(Sender: TObject; var Key: Word; var KeyChar: Char; Shift: TShiftState);
var
    Keyboard: IFMXVirtualKeyboardService;
begin
    if Key = vkHardwareBack then
    begin
        Key := 0;

 

        // 백버튼을 눌렀을 때 프레임이 생성되 있으면 해제한다....

        if FrameList.Count > 0 then
        begin
            FrameList.DeleteCurrentFrame; // 가장 마지막에 생성된 프레임(현재 프레임) 삭제....
            //  FrameList.Clear;  // 모든 프레임 일괄 삭제....
            Exit;
        end;


        Close;
    end;
end;

end.

 

 

 

// 프레임 유닛....

unit Unit4;

interface

uses
  System.SysUtils, System.Types, System.UITypes, System.Classes, System.Variants,
  FMX.Types, FMX.Graphics, FMX.Controls, FMX.Forms, FMX.Dialogs, FMX.StdCtrls,
  FMX.Controls.Presentation, FMX.Edit;

type
  TFrame1 = class(TFrame)
    Edit1: TEdit;
    btnFrameFree: TButton;
    procedure btnFrameFreeClick(Sender: TObject);
  private
  public
  end;

implementation

 

uses Unit3;

 

{$R *.fmx}

procedure TFrame1.btnFrameFreeClick(Sender: TObject);
begin

   // 프레임 위의 '닫기' 버튼을 눌렀을 때 현재 프레임을 삭제한다...
    Form3.FrameList.DeleteCurrentFrame;

end;

end.

 

클래스는 파일로 첨부되어 있습니다....

사용자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셔도 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적극 환영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DelphiCon 요약] 코드사이트 로깅 실전 활용 기법 (Real-world CodeSite Logging Techniques) 관리자 2021.01.19 17838
공지 [UX Summit 요약] 오른쪽 클릭은 옳다 (Right Click is Right) 관리자 2020.11.16 16194
공지 [10.4 시드니] What's NEW! 신기능 자세히 보기 관리자 2020.05.27 18847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C++빌더) - 고객 사례 목록 관리자 2018.10.23 24418
공지 [데브기어 컨설팅] 모바일 앱 & 업그레이드 마이그레이션 [1] 관리자 2017.02.06 25799
공지 [전체 목록] 이 달의 기술자료 & 기술레터 관리자 2017.02.06 21158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 C++빌더) - 시작하기 [1] 관리자 2015.06.30 41748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C++빌더) - 모바일 앱 개발 사례 (2020년 11월 업데이트 됨) 험프리 2014.01.16 177058
26 David I의 31 XE3 퀵 비디오 - FM2 Ancors 프로퍼티, FlowLayout과 GridLayout 관리자 2012.10.12 5485
25 파이어몽키용 TMS 그리드의 간략한 소개 백서 관리자 2012.09.26 6874
24 3줄의 코드로 "움직이는 3D 컬러애벌레" 만들기 관리자 2012.07.12 6869
23 [세미나자료] 20120508 "Mac과 윈도우를 동시에… 동일한 소스코드로 멋지게 개발" file 관리자 2012.05.10 7329
22 앤더슨 올슨이 아이폰용 컴포넌트의 새버전을 오픈 했습니다. [3] file 관리자 2012.05.09 7398
21 파이어몽키와 VCL을 한 화면에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 동영상 [2] 관리자 2012.05.09 7576
20 파이어몽키를 이용해서 아이폰앱을 개발할때 스타일 바꾸기 관리자 2012.04.19 8983
19 FireMonkey Quick Start Guide now available on our DocWiki 관리자 2012.04.02 6017
18 Firemonkey MAC OSX 에서 ComboBox 다운현상 [2] c2design 2012.03.28 8353
17 [참고] MAC OSX 에서 ExtractFileName 사용시 주의점. [1] c2design 2012.03.23 7733
16 [참고] MAC OSX 어플리케이션 프로젝트 경로 문제 [1] c2design 2012.03.23 8149
15 델파이 XE2 파이어몽키로 만든 아이폰 3D 매쉬 앱 file 박병일 2012.03.07 11639
14 VCL 폼을 파이어몽키 폼으로 바꿀수 있는 컨버터 프로그램 file 박병일 2012.03.01 8337
13 파이어 몽키 이퀼라이저 데모 동영상 박병일 2012.02.06 10066
12 파이어몽키 써드파티 라이브러리 ApeSuite file 박병일 2012.02.06 9119
11 파이어몽키 3D Text Editor file 박병일 2012.02.06 13927
10 파이어몽키를 이용하여 당구 게임을 시뮬레이션한 데모 file 박병일 2012.02.06 10655
9 파이어 몽키를 이용한 공학 계산과 그래프 박병일 2012.01.28 11436
8 파이어몽키 기반의 아이폰앱 개발에서 주소록 가져오기 박병일 2012.01.25 14452
7 델파이XE2 파이어몽키 기반 아이폰앱 개발에서 제스춰를 인식시키는 방법 박병일 2012.01.25 23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