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퍼를 이용한 파일 스트림 - TBufferedFileStream

TBufferedFileStream.png

 

버퍼링을 지원하는 파일스트림을 이용해 파일 I/O 작업을 더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TBufferedFileStream이 RAD Studio 10.1 베를린에 추가되었습니다.

 

위 그림과 같이 기존 파일 스트림(TFileStream)으로 진행시 1,556 msec 걸리던 작업을 버퍼링을 지원하는 파일 스트림(TBufferedFileStream)을 이용할 경우 15 msec로 큰 속도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사용한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uses
  System.Diagnostics; // TStopwatch

procedure TForm1.btnWriteClick(Sender: TObject);
var
  sw: TStreamWriter;
  I: Integer;
begin
  sw := TStreamWriter.Create('test.txt', False, TEncoding.UTF8);
  try
    sw.WriteLine('Hello world');
    for I := 0 to 99999 do
      sw.WriteLine('Hello ' + I.ToString);
  finally
    sw.Free;
  end;
  Memo1.Lines.Add('File written')
end;

procedure TForm1.btnReadClick(Sender: TObject);
var
  FileStream: TFileStream;
  Total, I: Integer;
  sw: TStopWatch;
  ch: Char;
begin
  sw := TStopwatch.StartNew;
  FileStream := TFileStream.Create('test.txt', fmOpenRead);
  try
    Total := 0;
    while FileStream.Read(ch, 1) = 1 do
    begin
      if ch = #13 then
        Inc(Total);
    end;
    Memo1.Lines.Add('Lines : ' + Total.ToString);
  finally
    FileStream.Free;
  end;
  sw.Stop;
  Memo1.Lines.Add('TFileStream msec : ' + sw.ElapsedMilliseconds.ToString);
end;

procedure TForm1.btnReadBufferedClick(Sender: TObject);
var
  BufFileStream: TFileStream;
  Total, I: Integer;
  sw: TStopWatch;
  ch: Char;
begin
  sw := TStopwatch.StartNew;
  BufFileStream := TBufferedFileStream.Create('test.txt', fmOpenRead);
  try
    Total := 0;
    while BufFileStream.Read(ch, 1) = 1 do
    begin
      if ch = #13 then
        Inc(Total);
    end;
    Memo1.Lines.Add('Lines : ' + Total.ToString);
  finally
    BufFileStream.Free;
  end;
  sw.Stop;
  Memo1.Lines.Add('TBufferedFileStream msec : ' + sw.ElapsedMilliseconds.ToString);
end;

관련 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DelphiCon 요약] 코드사이트 로깅 실전 활용 기법 (Real-world CodeSite Logging Techniques) 관리자 2021.01.19 15788
공지 [UX Summit 요약] 오른쪽 클릭은 옳다 (Right Click is Right) 관리자 2020.11.16 14195
공지 [10.4 시드니] What's NEW! 신기능 자세히 보기 관리자 2020.05.27 16749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C++빌더) - 고객 사례 목록 관리자 2018.10.23 22308
공지 [데브기어 컨설팅] 모바일 앱 & 업그레이드 마이그레이션 [1] 관리자 2017.02.06 23620
공지 [전체 목록] 이 달의 기술자료 & 기술레터 관리자 2017.02.06 19143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 C++빌더) - 시작하기 [1] 관리자 2015.06.30 39573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C++빌더) - 모바일 앱 개발 사례 (2020년 11월 업데이트 됨) 험프리 2014.01.16 174998
74 [REST API] REST 기반 파일 업로드와 다운로드 구현하기 험프리 2020.08.31 83442
73 다중 클라이언트를 위한 DataSnap 서버 만들기 관리자 2011.12.22 16120
72 델파이 XE2 로 아이폰 하드웨어 컨트롤 하기 박병일 2012.01.19 15508
71 dbExpress 의 SQLConnection 에서 트랜젝션 처리하기 박병일 2012.02.08 13978
70 델파이 XE2로 만든 아이폰 앱 - TicTacToe file 박병일 2012.01.17 13960
69 델파이 XE2의 DataSnap 서버와 OSX Client의 연동 박병일 2012.01.19 13548
68 델파이 XE2로 아이폰앱 만들기 박병일 2012.01.18 13051
67 Delphi XE2에서 맥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 보자 박병일 2012.01.18 13002
66 델파이 XE2 DataSnap Client 만들기 [1] 관리자 2011.12.22 12901
65 웹상의 이미지를 폼(TImage)에서 사용하는 방법 [3] file Humphery 2013.12.14 11806
64 [델파이 문법] 클래스와 객체 #1 file 관리자 2012.04.12 10874
63 OAuth 2.0 연동 - 카카오 API(카카오톡 프로필) [9] 험프리 2018.12.26 10066
62 파이어 몽키 이퀼라이저 데모 동영상 박병일 2012.02.06 10065
61 델파이 XE2의 Namespace 문제 박병일 2012.01.19 8695
60 Runtime Packages 옵션으로 프로그램(배포) 용량 줄이기 [4] file Humphery 2013.12.19 7781
59 델파이 XE2로 만든 아이폰용 Datasnap Client 관리자 2011.12.22 7284
58 [REST API][실습] REST API 클라이언트 개발하기(REST Client 이용) [2] 험프리 2017.05.23 7125
57 델파이에서 사용하는 각 Stream(스트림) 정리 김원경 2017.01.04 6654
56 [REST API] 다음 Kakao > 로컬 > 주소검색 연동하기 [2] 험프리 2017.09.18 6376
55 파이어몽키 모바일에서 사용자 파일 배포 및 사용 file 험프리 2013.12.27 6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