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컴파일러에 기존 메모리 참조 모델 적용

엠바카데로는 RAD 스튜디오 컴파일러는 객체 메모리 관리 모델을 ARC(Auto Reference Count) 메모리 모델에서 기존 델파이 모델(non-ARC)로 전체적으로 통합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10.3 리오에서는 먼저 리눅스 64비트 컴파일러에 대해 ARC 모델에서 non-ARC 모델로 변경되었습니다.

 

객체에대한 ARC 모델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윈도우(VCL)을 ARC로 전환 시 기존 애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 변경은 많은 문제 발생 가능
  • ARC 모델과 non-ARC 모델 2개의 모델로 인한 복잡성을 제거
  • 리눅스와 모바일의 FireMonkey 성능 향상

엠바카데로는 윈도우(VCL)을 ARC로 전환할 수 있었지만, 기존 애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가 전반적으로 변경되어 이전의 유니코드 마이그레이션 보다 훨씬 더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ARC 모델은 메모리 해제등의 메모리 관리 일부를 제고하고, 단순화 하기 때문에 기존 델파이 모델에 비해 개선된 것으로 생각해 왔습니다. 지역 변수 및 단순한 시나리오에서는 ARC는 서류상으로 훌륭해 보이지만, 큰 규모의 프로젝트를 제작하고 유지할때 복잡한 코드와 시나리오에서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또한, TComponent 기반 모델은 ARC와 상충되어 ARC 지원하는 기존 컴포넌트를 복잡하게 합니다.

 

두가지 메모리 모델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라는 요청도 많았지만, ARC 지원하는 객체와 지원하지 않는 객체는 쉽게 공존할 수 없으며, 두가지 유형의 객체를 모두 지원하는 컨테이너가 필요할 것이고 결국 복잡한 시나리오만으로 끝날 것입니다.

 

또한, ARC를 비활성화하는 이유중 하나로 향후 10.3의 Linux와 모바일의 FireMonkey의 성능향상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위 이유로 엠바카데로는 하나의 메모리 모델로 통합해 복잡성을 줄이고 성능을 향상하는 방향을 선택했습니다.

10.3 리오에서는 Linux 64비트 컴파일러에 대해 우선적으로 적용되었습니다. 향후 예정된 MacOS 64비트와 모바일 컴파일러에도 점진적으로 non-ARC 모델이 적용될 것입니다.(현재 10.3 리오 모바일 플랫폼의 컴파일러는 ARC 모델 적용 중입니다.)

 

리눅스에서 AnsiString과 AnsiChar 지원

10.3 부터 리눅스 64비트 컴파일러는 NEXTGEN 정의가 비활성화됩니다.

 
리눅스 컴파일러(LLVM 기반 컴파일러 엔진)에 대한 NEXTGEN 구성을 비활성화 함으로 기존의 AnsiChar/AnsiString 데이터 유형을 지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리눅스에서도 유니코드가 선호됩니다. 윈도우와 리눅스의 Ansi 코드 페이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기존의 로우레벨 문자열 관리 코드와 호환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0.3 리오의 업데이트 버전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DelphiCon 요약] 코드사이트 로깅 실전 활용 기법 (Real-world CodeSite Logging Techniques) 관리자 2021.01.19 17825
공지 [UX Summit 요약] 오른쪽 클릭은 옳다 (Right Click is Right) 관리자 2020.11.16 16182
공지 [10.4 시드니] What's NEW! 신기능 자세히 보기 관리자 2020.05.27 18834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C++빌더) - 고객 사례 목록 관리자 2018.10.23 24408
공지 [데브기어 컨설팅] 모바일 앱 & 업그레이드 마이그레이션 [1] 관리자 2017.02.06 25790
공지 [전체 목록] 이 달의 기술자료 & 기술레터 관리자 2017.02.06 21147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 C++빌더) - 시작하기 [1] 관리자 2015.06.30 41738
공지 RAD스튜디오(델파이,C++빌더) - 모바일 앱 개발 사례 (2020년 11월 업데이트 됨) 험프리 2014.01.16 177043
143 HTML5 Builder로 시작하는 Hello World 모바일 클라이언트 앱 생성하기 (한글 번역) 관리자 2012.09.20 6975
142 [델파이 문법] 문법 요소 #1 file 관리자 2012.09.17 7626
141 [XE3] VCL 이나 FireMonkey 폼을 Metropolis UI로 컨버팅하는 1분 동영상 관리자 2012.09.12 6921
140 [델파이 문법] 프로그램과 유닛 #4 file 관리자 2012.09.12 6401
139 [델파이 문법] 프로그램과 유닛 #3 file 관리자 2012.09.10 7462
138 20120906 RAD Studio XE3 월드투어-서울 세미나 발표자료입니다. [1] file 관리자 2012.09.07 5779
137 [델파이 문법] 프로그램과 유닛 #2 file 관리자 2012.09.06 8277
136 [델파이 문법] 프로그램과 유닛 #1 file 관리자 2012.09.03 9073
135 [델파이 문법] 프로시저와 함수 #12 file 관리자 2012.08.30 5636
134 [델파이 문법] 프로시저와 함수 #11 file 관리자 2012.08.27 5359
133 [델파이 문법] 프로시저와 함수 #10 file 관리자 2012.08.23 6981
132 [델파이 문법] 프로시저와 함수 #9 file 관리자 2012.08.20 6918
131 [델파이 문법] 프로시저와 함수 #8 file 관리자 2012.08.16 5553
130 [델파이 문법] 프로시저와 함수 #7 file 관리자 2012.08.13 6156
129 [동영상 강의] 델파이 기본 교육_21.트랜잭션처리 관리자 2012.08.10 6792
128 [델파이 문법] 프로시저와 함수 #6 file 관리자 2012.08.09 5527
127 PA(Platform Assistant) Server를 활용한 Windows 응용 프로그램 원격 디버깅 file 관리자 2012.08.09 5529
126 [동영상 강의] 델파이 기본 교육_20.스토어드 프로시저 관리자 2012.08.07 6331
125 [동영상 강의] 델파이 기본 교육_19.예외(Exception)처리 관리자 2012.08.06 6527
124 [델파이 문법] 프로시저와 함수 #5 file 관리자 2012.08.06 5544